경찰행정학과는 경찰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범죄 원인과 대책을 연구하며, 다양한 범죄이론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공부를 합니다. 또한 현장 경찰활동 수행을 위해서 각종 이론적 지식과 함께 무술, 체포술과 같은 무도술을 연마합니다.
경찰 모의체력 검정 프로그램 실시
부산 지역 최초 경찰청 순환식 체력 검사 장비 도입을 통한 정기적 체력 측정
다양한 기관 연계 활동 진행
안전지킴이 활동(부산교통공사) 자율방범대(부산경찰청·부산자치경찰위원회)
민간경비 전문 교육기관
경찰청 일반경비원·특수경비원 신임교육, 경비지도사 기본교육 운영
졸업 후 진로
공공안전 및 법집행 분야
재난 및 구조 분야
교정 및 보호 분야
정보 및 보안 분야
범죄 분석 및 피해자 지원 분야
교육 및 학문 분야
주요 취업 성과
경찰공무원
해양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교정직 공무원
전임 교수
취득 자격증
G-TELP 43점 이상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경비지도사
무도 공인 2단 이상(유도·태권도)
교육과정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SILLA UNIVERSITY
주요프로그램
SPA 프로그램
SPA 프로그램
SPA 프로그램
SPA 프로그램
교수소개
조민상
교수(학과장)
051-999-5405
범죄심리학, 범죄예방론
police01@silla.ac.kr
김순석
교수(평생교육원장)
051-999-5695
경찰학, 범죄학
kisspol@silla.ac.kr
김양현
교수
051-999-7612
경찰학, 민간경비론
ibs823@silla.ac.kr
이주일
교수
051-999-5330
형법, 형사소송법
권순현
교수
051-999-5827
헌법, 행정법
김윤환
초빙교수
051-999-5798
체포호신술, 항공보안호신술
김동록
초빙교수
051-999-5798
경찰행정법, 첨단경찰론, 과학수사론
최성구
초빙교수
051-999-5798
체포호신술, 경찰무도론
김종만
초빙교수
051-999-5798
탐정학개론
이종우
초빙교수
051-999-5798
자치경찰론
배병준
초빙교수
051-999-5798
교정학, 경찰경호론
과목명 | 교과목 해설 |
---|---|
진로지도Ⅶ | 자신의 진로를 위한 기본적인 책무와 행동에 대한 바른 인지를 이해함 (평생진로지도 체제로 입학부터 졸업시까지 대학생활의 전반기를 걸쳐 지도함) |
CPTED이론과 적용 | 도시안전학적인접근에 범죄학, 건축학, 도시계획학, 심리학등을통해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감소와 더불어 범행기회의 억제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전략을 학습한다. |
경찰실습Ⅰ | 경찰 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해로부터 자신의 신체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호신술 사용 방법을 익힌다. |
경찰활동과 드론 | 경찰활동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라는 궁극적 목적에 부합하여 행해지고 있다. 그중 경비, 순찰, 교통 등은 항공지원이 특히 필요한 분야이다. 예를 들어 지구대의 경찰은 방범순찰 임무 때문에 관할지역에 대한 도보 및 차량 순찰을 실시한다. 교통경찰은 도심지 뿐 아니라 고속도로까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순찰 및 질서유지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분야에 드론투입을 통한 경찰활동의 효율성향상을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전략을 학습한다. |
융복합캡스톤디자인 | '융합 캡스톤 디자인'은 인류의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ICT(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인간에게 편의성과 만족, 행복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는 과목이다. 즉 정보통신기술을 치안분야와 접목하여 더 효율적인 경찰활동을 할수 있는 새로운 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
과목명 | 교과목 해설 |
---|---|
진로지도Ⅷ | 자신의 진로를 위한 기본적인 책무와 행동에 대한 바른 인지를 이해함 (평생진로지도 체제로 입학부터 졸업시까지 대학생활의 전반기를 걸쳐 지도함) |
경찰실습Ⅱ | 경찰 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해로부터 자신의 신체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호신술 사용 방법을 익힌다. |
범죄학세미나 | 본 교과는 범죄와 범죄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통해 생물학적 범죄원인론,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사회학적 범죄원인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통하여 개별범죄의 개념, 특징, 대응에 대하여 연구하는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한다. |
경찰학세미나 | 경찰학의 최근동향, 미래전망 및 주요관심사를 다룸으로써 경찰학에 관한 새로운 안목을 넓힌다. 또한 실제 사례에 관한 세미나 수업방법으로 경찰학에 관한 지식을 내재화시킨다. |